맨위로가기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26년에 처음 개최된 수영,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오픈 워터 수영, 하이다이빙 종목의 유럽 선수권 대회이다. 1927년부터 여자 선수의 참가가 허용되었고, 1999년까지 수구 종목도 포함되었다. 1973년부터 1999년까지는 하계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 개최되었다. 러시아, 독일, 동독, 헝가리, 이탈리아, 영국 등이 메달 집계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영 대회 -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93년부터 2년마다 열리는 국제 수영 대회로, 50m 쇼트 코스에서 다양한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여 총 46개 세부 종목에서 경쟁하며, 미국이 역대 메달 집계 1위, 대한민국은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 수영 대회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수영 연맹 주관으로 2년마다 열리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수구, 오픈 워터 수영,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유도 연맹 주관으로 시작되어 남자 개인전 위주로 진행되다가 여자부 경기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 대회를 통해 유럽 유도 발전에 기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유도 대회이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수구 실력을 겨루는 국제 대회로, 남자부는 헝가리, 여자부는 네덜란드가 우위를 점하며 유럽 수구 발전에 기여하고 스타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혼바쇼
    혼바쇼는 스모의 공식 토너먼트를 지칭하며 에도 시대부터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어 일본 스모 협회 설립 후 연간 6회 홀수 달에 15일간 진행되고 각 등급별 우승자를 가린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스위스컵
    스위스컵은 스위스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스위스의 축구 토너먼트 대회로, 1925-26 시즌에 창설되었으며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가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정식 명칭유럽 아쿠아틱스 선수권 대회
로마자 표기European Aquatics Championships
종목수영
다이빙
하이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세부 정보
창설1926년
주기2년
참가국유럽 국가
주최유럽 수영 연맹(LEN)
기타
웹사이트유럽 수영 연맹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26년에 처음 개최되었다.[1] 1927년 두 번째 대회부터 여자 선수의 참가가 허용되었다.[1] 1999년까지는 수구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로 분리되기 전까지 이 대회에 포함되었다.[1]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 선수권 대회는 하계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 개최되었으며, 1979년은 예외였다.[1] 여기서 1973년은 세계 선수권 대회가 시작된 해였고, 1999년은 세계 선수권 대회가 하계 올림픽 사이의 짝수 해에서 2001년부터 홀수 해로 변경되기 전 마지막 해였다.[1]

번호연도개최 도시국가종목날짜메달 집계 1위메달 집계 2위메달 집계 3위
11926부다페스트91926년 8월 18일–22일#REDIRECT
21927볼로냐161927년 8월 31일 – 9월 4일#REDIRECT#REDIRECT
31931파리161931년 8월 23일–30일#REDIRECT#REDIRECT
41934마그데부르크161934년 8월 12일–19일#REDIRECT
51938런던161938년 8월 6일–13일 독일#REDIRECT#REDIRECT
61947몬테카를로161947년 9월 10일–14일#REDIRECT
71950비엔나161950년 8월 20일–27일#REDIRECT
81954토리노181954년 8월 31일 – 9월 5일
91958부다페스트201958년 8월 31일 – 9월 6일#REDIRECT#REDIRECT
101962라이프치히231962년 8월 18일–25일#REDIRECT#REDIRECT
111966위트레흐트231966년 8월 20일–27일#REDIRECT#REDIRECT
121970바르셀로나341970년 9월 5일–13일#REDIRECT
131974비엔나371974년 8월 18일–25일#REDIRECT#REDIRECT
141977옌셰핑371977년 8월 14일–21일#REDIRECT
151981스플리트371981년 9월 4일–12일#REDIRECT#REDIRECT#REDIRECT
161983로마381983년 8월 22일–27일#REDIRECT#REDIRECT
171985소피아
오슬로

391985년 8월 4일–11일
1985년 8월 12일–18일
#REDIRECT#REDIRECT
181987스트라스부르411987년 8월 16일–23일#REDIRECT#REDIRECT
191989431989년 8월 15일–20일#REDIRECT#REDIRECT
201991아테네
테라치나

471991년 8월 18일–25일
1991년 9월 14일–15일
#REDIRECT#REDIRECT}}

|-

| align=center|21||1993 || 셰필드
슬라피 ||
|| align=center|47 ||1993년 8월 3일–8일
1993년 8월 28일–29일 || #REDIRECT || }}} || }}}

|-

| align=center|22||1995 || 비엔나 || || align=center|47 ||1995년 8월 22일–27일 || }}} || #REDIRECT || }}}

|-

| align=center|23||1997 || 세비야 || || align=center|51 ||1997년 8월 19일–24일 || }}} || #REDIRECT || }}}

|-

| align=center|24||1999 || 이스탄불 || || align=center|55 ||1999년 7월 26일 – 8월 1일 || #REDIRECT || }}} || #REDIRECT

|-

| align=center|25||2000 || 헬싱키 || || align=center|55 ||2000년 7월 3일–9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26||2002 || 베를린 || || align=center|57 ||2002년 7월 29일 – 8월 4일 || #REDIRECT || }}} ||

|-

| align=center|27||2004 || 마드리드 || || align=center|58 ||2004년 5월 5일–16일 || || }}} ||

|-

| align=center|28||2006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58 ||2006년 7월 26일 – 8월 6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29||2008 || 아인트호벤 || || align=center|54 ||2008년 3월 13일–24일 || }}} || ||

|-

| align=center|30||2010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61 ||2010년 8월 4일–15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1||2012 || 데브레첸
아인트호벤 ||
||align=center|55 ||2012년 5월 15일–27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2||2014 || 베를린 || ||align=center|64 ||2014년 8월 13일–24일 || #REDIRECT || }}} ||

|-

| align=center|33||2016 || 런던 || || align=center|64||2016년 5월 9일–22일 || #REDIRECT || }}} || }}}

|-

| align=center|34||2018 || 글래스고
에든버러 || || align=center|72 ||2018년 8월 2일–12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5||2020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73 ||2021년 5월 10일–23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6||2022 || 로마 || || align=center|77 ||2022년 8월 11일–21일 || || #REDIRECT ||

|-

| align=center|37||2024 || 베오그라드 || || align=center|74 ||2024년 6월 10일–23일 || }}} || || #REDIRECT

|-

| align=center|38||2026 || 파리 || || align=center| ||2026년 7월 25일 – 8월 8일 || || ||

|}

2. 1. 초기 (1926-1947)

2. 2. 발전과 변화 (1950-1999)

2. 3. 현대 (2000-현재)

3. 종목

4. 역대 개최지

역사적으로, 이 선수권 대회는 1926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1999년 수구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로 종목이 이전되기 전까지 포함되었다.[1]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 선수권 대회는 하계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 개최되었으며, 1979년은 예외였다.[1] 여자 선수는 1927년 두 번째 선수권 대회부터 참가가 허용되었다.[1]

번호연도개최 도시국가종목날짜메달 집계 1위메달 집계 2위메달 집계 3위
11926부다페스트91926년 8월 18일–22일#REDIRECT
21927볼로냐161927년 8월 31일 – 9월 4일#REDIRECT#REDIRECT
31931파리161931년 8월 23일–30일#REDIRECT#REDIRECT
41934마그데부르크161934년 8월 12일–19일#REDIRECT
51938런던161938년 8월 6일–13일 독일#REDIRECT#REDIRECT
61947몬테카를로161947년 9월 10일–14일#REDIRECT
71950비엔나161950년 8월 20일–27일#REDIRECT
81954토리노181954년 8월 31일 – 9월 5일
91958부다페스트201958년 8월 31일 – 9월 6일#REDIRECT#REDIRECT
101962라이프치히231962년 8월 18일–25일#REDIRECT#REDIRECT
111966위트레흐트231966년 8월 20일–27일#REDIRECT#REDIRECT
121970바르셀로나341970년 9월 5일–13일#REDIRECT
131974비엔나371974년 8월 18일–25일#REDIRECT#REDIRECT
141977옌셰핑371977년 8월 14일–21일#REDIRECT
151981스플리트371981년 9월 4일–12일#REDIRECT#REDIRECT#REDIRECT
161983로마381983년 8월 22일–27일#REDIRECT#REDIRECT
171985소피아
오슬로

391985년 8월 4일–11일
1985년 8월 12일–18일
#REDIRECT#REDIRECT
181987스트라스부르411987년 8월 16일–23일#REDIRECT#REDIRECT
191989431989년 8월 15일–20일#REDIRECT#REDIRECT
201991아테네
테라치나

471991년 8월 18일–25일
1991년 9월 14일–15일
#REDIRECT#REDIRECT}}

|-

| align=center|21||1993 || 셰필드
슬라피 ||
|| align=center|47 ||1993년 8월 3일–8일
1993년 8월 28일–29일 || #REDIRECT || }}} || }}}

|-

| align=center|22||1995 || 비엔나 || || align=center|47 ||1995년 8월 22일–27일 || }}} || #REDIRECT || }}}

|-

| align=center|23||1997 || 세비야 || || align=center|51 ||1997년 8월 19일–24일 || }}} || #REDIRECT || }}}

|-

| align=center|24||1999 || 이스탄불 || || align=center|55 ||1999년 7월 26일 – 8월 1일 || #REDIRECT || }}} || #REDIRECT

|-

| align=center|25||2000 || 헬싱키 || || align=center|55 ||2000년 7월 3일–9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26||2002 || 베를린 || || align=center|57 ||2002년 7월 29일 – 8월 4일 || #REDIRECT || }}} ||

|-

| align=center|27||2004 || 마드리드 || || align=center|58 ||2004년 5월 5일–16일 || || }}} ||

|-

| align=center|28||2006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58 ||2006년 7월 26일 – 8월 6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29||2008 || 아인트호벤 || || align=center|54 ||2008년 3월 13일–24일 || }}} || ||

|-

| align=center|30||2010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61 ||2010년 8월 4일–15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1||2012 || 데브레첸
아인트호벤 ||
||align=center|55 ||2012년 5월 15일–27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2||2014 || 베를린 || ||align=center|64 ||2014년 8월 13일–24일 || #REDIRECT || }}} ||

|-

| align=center|33||2016 || 런던 || || align=center|64||2016년 5월 9일–22일 || #REDIRECT || }}} || }}}

|-

| align=center|34||2018 || 글래스고
에든버러 || || align=center|72 ||2018년 8월 2일–12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5||2020 || 부다페스트 || || align=center|73 ||2021년 5월 10일–23일 || }}} || #REDIRECT ||

|-

| align=center|36||2022 || 로마 || || align=center|77 ||2022년 8월 11일–21일 || || #REDIRECT ||

|-

| align=center|37||2024 || 베오그라드 || || align=center|74 ||2024년 6월 10일–23일 || }}} || || #REDIRECT

|-

| align=center|38||2026 || 파리 || || align=center| ||2026년 7월 25일 – 8월 8일 || || ||

|}

5. 메달 집계 (1926-2024)

2024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이후 업데이트됨.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26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수영,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오픈 워터 수영, 하이 다이빙 종목을 포함한다. 1926년부터 1997년까지는 수구 종목도 포함되었으나, 1999년부터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2024년 현재, 알바니아, 안도라, 아제르바이잔, 키프로스, 조지아, 지브롤터, 코소보,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몰타, 몰도바, 모나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산마리노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다음은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 집계표이다.

국가
러시아/Россияru19711687
독일/Deutschlandde175166135
동독/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de14311568
헝가리/Magyarországhu13411691
이탈리아/Italiait130160205
영국/Great Britain영어114120141
소련/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ru978779
프랑스/France프랑스어9410197
네덜란드/Nederlandnl909892
스웨덴/Sverigesv707875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uk697370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413349
스페인/Españaes386251
덴마크/Danmarkda302434
폴란드/Polskapl222629
오스트리아/Österreichde172023
루마니아/Româniaro142632
그리스/Ελλάδαel132128
핀란드/Suomifi13912
이스라엘/ישראלhe7612
체코/Českocs7217
노르웨이/Norgeno695
벨기에/Belgiënl6717
스위스/Schweizde51321
벨라루스/Беларусьbe51017
아일랜드/Éirega572
세르비아/Србијаsr512
리투아니아/Lietuvalt4611
슬로바키아/Slovenskosk3114
불가리아/Българияbg349
유고슬라비아21413
크로아티아/Hrvatskahr277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2511
슬로베니아/Slovenijasl2510
튀르키예/Türkiyetr215
포르투갈/Portugalpt11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osna i Hercegovinabs111
에스토니아/Eestiet110
페로 제도/Føroyarfo030
아이슬란드/Íslandis02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010
아르메니아/Հայաստանhy001


5. 1. 전체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26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수영,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오픈 워터 수영, 하이 다이빙 종목을 포함한다. 1926년부터 1997년까지는 수구 종목도 포함되었으나, 1999년부터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2024년 현재, 알바니아, 안도라, 아제르바이잔, 키프로스, 조지아, 지브롤터, 코소보,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몰타, 몰도바, 모나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산마리노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다음은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 집계표이다.

국가
러시아/Россияru19711687
독일/Deutschlandde175166135
동독/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de14311568
헝가리/Magyarországhu13411691
이탈리아/Italiait130160205
영국/Great Britain영어114120141
소련/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ru978779
프랑스/France프랑스어9410197
네덜란드/Nederlandnl909892
스웨덴/Sverigesv707875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uk697370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413349
스페인/Españaes386251
덴마크/Danmarkda302434
폴란드/Polskapl222629
오스트리아/Österreichde172023
루마니아/Româniaro142632
그리스/Ελλάδαel132128
핀란드/Suomifi13912
이스라엘/ישראלhe7612
체코/Českocs7217
노르웨이/Norgeno695
벨기에/Belgiënl6717
스위스/Schweizde51321
벨라루스/Беларусьbe51017
아일랜드/Éirega572
세르비아/Србијаsr512
리투아니아/Lietuvalt4611
슬로바키아/Slovenskosk3114
불가리아/Българияbg349
유고슬라비아21413
크로아티아/Hrvatskahr277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2511
슬로베니아/Slovenijasl2510
튀르키예/Türkiyetr215
포르투갈/Portugalpt11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osna i Hercegovinabs111
에스토니아/Eestiet110
페로 제도/Føroyarfo030
아이슬란드/Íslandis02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010
아르메니아/Հայաստանhy001


5. 2. 세부 종목별 메달 집계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의 세부 종목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2]

종목국가
경영1149775
948973
795746
7690108
7392113
706463
658275
625866
615552
353125
352742
282430
232628
212527
132532
111420
1178
91011
769
685
6714
6211
5710
571
511
4811
4611
3112
277
2510
237
215
179
139
114
111
110
030
021
동독13210055



종목국가
다이빙595646
534333
272624
272222
242528
182234
동독111413
9611
8179
565
474
432
412
224
204
157
112
112
110
025
020
010
001
001



종목국가
아티스틱 스위밍5330
151911
1356
112412
9199
42237
431
368
346
156
120
033
019
012
003
002
001
001



종목국가
오픈 워터 스위밍212325
201614
1384
12117
766
61112
122
121
110
106
100
045
010
002
001



종목국가
하이 다이빙110
100
010
002



종목국가
수구1282
532
513
505
202
174
032
030
021
012
012
동독010
010
003
001


6. 경영 최다 메달리스트

다음 표는 2024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이후 업데이트된,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7개 이상 획득한 수영 선수들이다.[3][4] 현역 선수는 연한 파란색( )으로 표시했다.

#수영 선수국가
합계
1알렉산드르 포포프알렉산드르 포포프/Александр Поповru213226
2아담 피티애덤 피티/Adam Peaty영어160016
3라슬로 체흐라슬로 체흐/Cseh Lászlóhu144523
4미하엘 그로스미하엘 그로스/Michael Großde134219
5피터 판 덴 후겐반트피터르 판 덴 호헨반트/Pieter van den Hoogenbandnl105419
6에밀리아노 브렘빌라에밀리아노 브렘빌라/Emiliano Brembillait103013
7필리포 마니니필리포 마니니/Filippo Magniniit95519
8페터 노케페터 노케/Peter Nockede91010
9크리슈토프 밀라크크리슈토프 밀라크/Milák Kristófhu82010
10터마시 다르니터마시 다르니/Darnyi Tamáshu8008
11던컨 스콧덩컨 스콧/Duncan Scott영어74011
12올레 리소호르올레흐 리소호르/Олег Лісогорuk73313
13제임스 가이제임스 가이/James Guy영어72312



#선수국가합계
1프란치스카 판 알름시크독일183021
2사라 셰스트룀스웨덴177428
3커틴커 호스주헝가리156425
4하이케 프리드리히독일112013
5테레세 알스함마르스웨덴107421
6프란 할설영국103417
7야나 클로치코바우크라이나102416
8산드라 푈커독일94417
9크리스티나 에게르세기헝가리94013
9아스트리드 슈트라우스독일94013
11프레야 앤더슨영국93416
12로르 마노두프랑스91313
13크리스틴 오토독일91111
14우테 게베니거독일91010
15시모나 콰다렐라이탈리아81110
16페데리카 펠레그리니이탈리아76720
17율리야 예피모바러시아74213
18메테 야콥센덴마크73818
19다니엘라 훙거독일73010
20보글라르카 커파스헝가리72413
20아그네스 코바치헝가리72413
22루시 호프영국7209
22브리타 슈테펜독일7209


6. 1. 남자

#수영 선수국가]]}} ||}]]}} ||}]]}}|| 합계

|-

!1

|align=left|알렉산드르 포포프 ||align=left|알렉산드르 포포프/Александр Поповru||21||3||2||26

|-

!2

|align=left bgcolor=lightblue|아담 피티 ||align=left|애덤 피티/Adam Peaty영어 ||16||0||0||16

|-

!3

|align=left|라슬로 체흐 ||align=left|라슬로 체흐/Cseh Lászlóhu ||14||4||5||23

|-

!4

|align=left|미하엘 그로스 ||align=left|미하엘 그로스/Michael Großde ||13||4||2||19

|-

!5

|align=left|피터 판 덴 후겐반트 ||align=left|피터르 판 덴 호헨반트/Pieter van den Hoogenbandnl ||10||5||4||19

|-

!6

|align=left|에밀리아노 브렘빌라 ||align=left|에밀리아노 브렘빌라/Emiliano Brembillait ||10||3||0||13

|-

!7

|align=left|필리포 마니니 ||align=left|필리포 마니니/Filippo Magniniit ||9||5||5||19

|-

!8

|align=left|페터 노케 ||align=left|페터 노케/Peter Nockede ||9||1||0||10

|-

!9

|align=left bgcolor=lightblue|크리슈토프 밀라크 ||align=left|크리슈토프 밀라크/Milák Kristófhu||8||2||0||10

|-

!10

|align=left|터마시 다르니 ||align=left|터마시 다르니/Darnyi Tamáshu ||8||0||0||8

|-

!11

|align=left bgcolor=lightblue|던컨 스콧 ||align=left|덩컨 스콧/Duncan Scott영어 ||7||4||0||11

|-

!12

|align=left|올레 리소호르 ||align=left|올레흐 리소호르/Олег Лісогорuk ||7||3||3||13

|-

!13

|align=left bgcolor=lightblue|제임스 가이 ||align=left|제임스 가이/James Guy영어 ||7||2||3||12

|}

6. 2. 여자

wikitable

#선수국가]]}} ||}]]}} ||}]]}}|| 합계

|-

!1

|align=left|프란치스카 판 알름시크 ||align=left|독일 ||18||3||0||21

|-

!2

|align=left bgcolor=lightblue|사라 셰스트룀 ||align=left|스웨덴 ||17||7||4||28

|-

!3

|align=left bgcolor=lightblue|커틴커 호스주 ||align=left|헝가리 ||15||6||4||25

|-

!4

|align=left|하이케 프리드리히 ||align=left|독일 ||11||2||0||13

|-

!5

|align=left|테레세 알스함마르 ||align=left|스웨덴 ||10||7||4||21

|-

!6

|align=left|프란 할설 ||align=left|영국 ||10||3||4||17

|-

!7

|align=left|야나 클로치코바 ||align=left|우크라이나 ||10||2||4||16

|-

!8

|align=left|산드라 푈커 ||align=left|독일 ||9||4||4||17

|-

!9

|align=left|크리스티나 에게르세기 ||align=left|헝가리 ||9||4||0||13

|-

!9

|align=left|아스트리드 슈트라우스 ||align=left|독일 ||9||4||0||13

|-

!11

|align=left bgcolor=lightblue|프레야 앤더슨 ||align=left|영국 ||9||3||4||16

|-

!12

|align=left|로르 마노두 ||align=left|프랑스 ||9||1||3||13

|-

!13

|align=left|크리스틴 오토 ||align=left|독일 ||9||1||1||11

|-

!14

|align=left|우테 게베니거 ||align=left|독일 ||9||1||0||10

|-

!15

|align=left bgcolor=lightblue|시모나 콰다렐라 ||align=left|이탈리아 ||8||1||1||10

|-

!16

|align=left|페데리카 펠레그리니||align=left|이탈리아 ||7||6||7||20

|-

!17

|align=left bgcolor=lightblue|율리야 예피모바 ||align=left|러시아 ||7||4||2||13

|-

!18

|align=left|메테 야콥센 ||align=left|덴마크 ||7||3||8||18

|-

!19

|align=left|다니엘라 훙거 ||align=left|독일 ||7||3||0||10

|-

!20

|align=left bgcolor=lightblue|보글라르카 커파스 ||align=left|헝가리 ||7||2||4||13

|-

!20

|align=left|아그네스 코바치 ||align=left|헝가리 ||7||2||4||13

|-

!22

|align=left bgcolor=lightblue|루시 호프 ||align=left|영국 ||7||2||0||9

|-

!22

|align=left|브리타 슈테펜 ||align=left|독일 ||7||2||0||9

|}

7. 기록

유럽 수영 선수권 기록 목록은 유럽 수영 선수권 기록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European Championships http://www.europeanc[...] 2011-04-17
[2] 웹사이트 LEN European Championships aquatic finalists - All time medals tables http://www2.len.eu/w[...] "203" 2022-08-15
[3] 웹사이트 EUROPEAN CHAMPIONSHIPS AQUATIC FINALISTS 1926 – 2016 – by Kelvin Juba http://www2.len.eu/w[...] len.eu 2021-05-22
[4] 웹사이트 Female swimmer with the most medals in the history of Euro Aquatics Championships https://twitter.com/[...] Swimming Stats 2021-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